데이터독 (1) 썸네일형 리스트형 Datadog 로그 지연 시간 확인 먼저 기본적으로 데이터독 로그 에이전트 매커니즘은 아래와 같다. 네트워크 혹은 이슈 발생 시 버퍼에 지연된 로그 인덱스 값을 넣고, 이슈가 해소되면 재전송한다. https://docs.datadoghq.com/logs/guide/mechanisms-ensure-logs-not-lost/#log-rotate 데이터독 로그매니지먼트는 기본적으로 로그의 time 관련 어트리뷰트가 없으면, 로그가 인입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DATE를 생성한다. 만약 로그에 TIME 관련 스탬프가 있다면 로그파이프라인을 통해 로그의 DATE를 지정할 수 있다. 데이터독은 아직 국내 리전이 없기 때문에 로그의 경우 해외망을 통해 전송된다. 거의 실시간으로 로그가 인입된다고 보면 되지만, 아주 약간의 지연이 발생될 수 있는데 대략 5.. 이전 1 다음